🏛 시사 & 경제/📰 정치·사회

(3월 17일) 🇺🇸 미국 ‘민감국가’ 지정…여야 책임 공방 지속 🇰🇷

Next_Frame 2025. 3. 17. 09:52

🇺🇸 미국 ‘민감국가’ 지정…여야 책임 공방 지속 🇰🇷

 

📌 정부, 두 달째 원인 파악도 못 해

📌 여당 “야당의 탄핵 남발 탓” vs 야당 “정부 무능과 내란 탓”

📌 핵무장론·국정 공백 등 원인 두고 충돌

📌 다음 달 15일까지 철회되지 않으면 한미 첨단 기술 협력 타격 우려


🔍 미국 ‘민감국가’ 지정, 배경은?

 

지난 1월,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Sensitive Country)’ 목록에 추가하면서 한미 간 첨단 기술 협력이 제한될 가능성이 커졌다.

 

📌 ‘민감국가’ 지정이란?

👉 미국의 첨단 기술 이전 및 협력이 제한되는 국가 목록

👉 국가 안보 및 경제적 이유로 특정 국가를 지정

👉 현재 중국·러시아·이란 등과 함께 한국 포함

 

정부는 ‘민감국가’ 지정이 한국의 기술·산업에 미칠 파장을 분석하고 있으나, 지정된 이유조차 명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 정치권 책임 공방…여야 충돌 심화

 

📢 여당(국민의힘): 야당의 탄핵 남발로 외교 대응 실패

한덕수 총리 등 주요 인사 탄핵으로 국정 공백 발생

정부 컨트롤타워 마비로 한미 협상력 약화

초당적 협력이 필요한 시점에 야당이 국정을 방해

 

권성동 원내대표 발언

“통상·관세 전쟁 시대에 초당적으로 협력해도 모자랄 판에, 거대 야당의 연쇄 탄핵으로 행정부 컨트롤타워가 마비됐다.”

 

📢 야당(더불어민주당): 정부의 외교 무능이 문제

윤석열 대통령의 내란 사태 후과가 결정적 원인

한미동맹 최초로 하향 조치된 외교적 참사

정부가 사태 파악조차 못 하면서 무능을 야당 탓으로 돌리고 있음

 

조승래 수석대변인 발언

“무능한 윤석열 대통령 집권의 결과이자, 12·3 내란의 후과로 이런 상황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 ‘핵무장론’이 주요 원인?

 

야당: 여권의 ‘핵무장론’이 미국의 우려를 초래했다

👉 윤 대통령 및 정부 관계자들이 핵 보유 주장을 반복

👉 미국이 한국의 독자적 핵개발 가능성을 의심해 경계

 

여당: 섣부른 해석, 핵무장론과는 무관

👉 ‘민감국가’ 지정 당시 한덕수 총리 직무 정지 상태

👉 정부의 외교력 약화가 원인이지, 핵무장론 때문은 아님

 


🔮 앞으로의 전망은?

 

📆 다음 달 15일까지 철회되지 않으면?

한미 간 첨단 기술 협력 차질 예상

반도체·배터리·AI 등 핵심 산업에 영향 가능성

정부의 적극적인 외교적 대응 필요

 

하지만 여야가 네 탓 공방을 벌이는 사이, 지정 철회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정부의 신속한 대응과 여야 간 초당적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