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 & 경제/💰 비즈니스·경제

(4월 9일) 미국, 9일부터 국가별 상호관세 전면 시행…한국 25%, 중국 104% 관세 폭탄

Next_Frame 2025. 4. 9. 14:56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국가별 상호관세가 9일 0시 1분부터 전면 시행되었습니다. 이번 조치는 기본 10% 관세에 이어 국가별로 최대 104%까지 차등 부과되는 형태로, 전 세계 무역 질서에 거센 충격파를 던지고 있습니다.


📌 국가별 관세율 현황

한국: 25%

중국: 104%

(초기 34% + 보복조치 대응 50% + 펜타닐 명목 20%)

베트남: 46%

캄보디아: 49%

태국: 36%

대만: 32%

일본: 24%

EU: 20%

 

단, 캐나다·멕시코는 USMCA(북미자유무역협정) 체결로 일부 무관세 유지

 


⚙️ 적용 제외 품목

기존 관세 부과 항목: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

향후 별도 부과 예정:

의약품, 반도체, 목재, 구리 등

 


🧭 협상 전략은?

 

트럼프 행정부는 “FTA 동맹국부터 맞춤형 협상”에 착수한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협상 대상국: 한국, 일본

협상 내용: 관세뿐 아니라 비관세 장벽, 방위비 분담까지 포함하는 ‘원샷 협상’

 

그러나 상대국들과의 간극이 커 협상 난항이 예상됩니다.
특히 이스라엘에는 “관세는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며 양보 없는 협상 원칙을 분명히 했습니다.

 


🔥 국제사회의 반응

중국:

“미국이 고집대로 간다면 끝까지 맞서겠다” – 상무부 발표

즉각 보복 조치 가능성 매우 높음

EU:

자동차 등 관세 철폐를 협상 조건으로 내세움. 협상 결렬 시 강력 대응 예고

캐나다:

미국산 자동차에 25% 맞불 관세 부과 개시

 


💬 트럼프 대통령 발언

 

“우리는 수십 년간 갈취당해왔다. 이제 미국이 우선이다.

 

이 발언은 단순한 정치적 수사에 그치지 않고 국가별 무역 정책 전면 재조정이라는 파괴적 행보로 이어졌습니다.

 


🔎 관세 전쟁, 세계경제에 미칠 영향은?

 

📉 미국 증시는 물론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에서 관세 리스크로 인한 급락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 공급망 혼란 + 보복 관세 + 불확실성 고조 →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확산 중입니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무역정책이 아니라 국제통상 질서의 대전환 신호탄으로 평가됩니다. 한국은 FTA 체결국임에도 25% 관세 적용 대상이 된 만큼, 협상력을 극대화한 대응전략 마련이 시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