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을 고민하는 부모님들, “어떤 경우에 신청 가능할까?”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궁금하시죠? 🤔
정부의 육아휴직·육아휴직급여 제도에 대해 A to Z 정리해드릴게요! 😊
📌 1. 육아휴직이란?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 신청 대상
👉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
👉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
✅ 지원 요건
🔹 육아휴직 : 현재 사업장에서 6개월 이상 근무
🔹 육아휴직 급여 : 육아휴직 30일 이상 사용, 고용보험 180일 이상 가입
⚠ 근무 6개월 미만이면 사업주가 거부 가능
⚠ 기간제·계약직·외국인 근로자도 신청 가능 (고용보험 가입 필수)
📌 2. 육아휴직, 어떻게 신청하나요?
📌 ① 육아휴직 신청
• 육아휴직 시작 30일 전 사업주에게 신청서 제출
• 단, 유산·사산 위험 등 긴급 상황 시 7일 전까지 신청 가능
📌 ② 육아휴직 급여 신청 (육아휴직 1개월 경과 후 신청 가능)
✅ 온라인 : 고용보험 누리집에서 신청 (사업주 확인 후 진행)
✅ 방문·우편 : 거주지 또는 사업장 소재지 고용센터에 신청서 제출
⚠ 육아휴직 종료 후 12개월 이내 신청 필수!
⚠ 매월 신청 또는 한 번에 신청 가능
📌 3. 육아휴직 기간 & 사용법 (최대 1년 가능!)
🔹 자녀 1명당 1년 사용 가능 (부모 각각 1년 사용 가능!)
🔹 자녀 2명이면 총 2년 사용 가능 (쌍둥이·연년생 포함)
🔹 임신 중에도 사용 가능
🔹 부부가 동시에 같은 자녀를 위해 육아휴직 사용 가능
📌 분할 사용 가능할까?
✅ 임신 중 육아휴직 → 횟수 제한 없이 분할 가능
✅ 출생 후 육아휴직 → 최대 2회까지 분할 가능
📌 4. 육아휴직 급여 💰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 월 통상임금의 80% 지급 (상한 150만 원, 하한 70만 원)
🔹 육아휴직 개시일 기준 월급을 기준으로 산정
🔹 고용보험 기금에서 최대 1년간 지급
🔹 육아휴직 기간은 근속기간 인정 (퇴직금 산정 포함!)
🔹 월 15시간 이하 근로 & 월 소득 150만 원 이하 소득활동 가능
⚠ 연차휴가 산정 시, 육아휴직 기간도 출근한 것으로 간주
(2018.5.29 이후 적용)
📌 5. 3+3 부모 육아휴직제 (부부 동시 육아휴직 혜택🎉)
✅ 생후 12개월 이내 자녀를 둔 부모가 육아휴직을 함께 사용할 경우
✅ 첫 3개월 급여 100% 지급! (월 최대 200~300만 원)
⚠ 부모가 같은 자녀에 대해 동시에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에도 적용 가능
⚠ 2022.1.1 이후 육아휴직 개시자부터 적용!
📌 6. 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 (아빠 육아휴직 급여 증가! 👨👦)
✅ 엄마 육아휴직 후, 아빠가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 첫 3개월 육아휴직 급여 100% 지급 (상한 250만 원)
✅ 4개월 이후는 통상임금의 50% (상한 120만 원) 지급
⚠ 부모가 동시에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엔 적용되지 않음
⚠ 2022.12.31까지 한시적 운영
📌 7. 한부모 근로자 육아휴직 지원 (추가 혜택 🎁)
✅ 첫 3개월 급여 100% (상한 250만 원)
✅ 4~12개월 급여 80% (상한 150만 원)
📌 8. 사업주는 어떤 혜택이 있을까?
✅ 육아휴직 30일 이상 부여 시, 월 30만 원 지원 (최대 1년간 지급!)
✅ 만 12개월 이하 자녀 둔 근로자 3개월 이상 육아휴직 시, 첫 3개월간 월 200만 원 지원
✅ 사업주는 육아휴직 기간 동안 임금을 지급할 의무 없음
✅ 대체인력 지원금은 폐지, ‘육아휴직 지원금’으로 변경
📌 9. 직장에서 육아휴직 거부하면 어떻게 할까?
🚨 사업주가 육아휴직을 거부할 경우?
👉 고용노동부에 신고 가능! (조사 후 500만 원 이하 벌금 처분)
🚨 육아휴직 이유로 해고하면?
👉 3년 이하 징역 or 3천만 원 이하 벌금
🚨 복직 후 동일 직무 & 임금 보장 안 하면?
👉 500만 원 이하 벌금 처분
🎯 정리하면? (이제 걱정 없이 육아휴직 신청하세요!)
✔ 최대 1년 육아휴직 가능 (부모 각각 1년)
✔ 육아휴직 급여 = 통상임금 80% (상한 150만 원, 하한 70만 원)
✔ 부모가 함께 육아휴직 사용 시, 3개월간 100% 급여 지급 (최대 300만 원)
✔ 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 → 3개월간 100% (최대 250만 원)
✔ 사업주도 혜택 받는다! (월 30만 원 지원)
✔ 거부 시 신고 가능! (벌금·징역 처벌 가능)
📢 “육아휴직, 더 이상 고민하지 마세요! 😊”
💬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 오늘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14일) 모바일 주민등록증, 전국 발급 개시! 사용처 및 신청 방법 총정리 (1) | 2025.03.14 |
---|---|
국민행복카드 발급 조건과 바우처 혜택 총정리! 🎉 (2) | 2025.03.12 |
👨👩👧👦 유산취득세 도입, 다자녀 가정에 유리한 이유는? 💰 (0) | 2025.03.12 |
5월 2일, 임시공휴일 될까? 황금연휴 논란🔥 (1) | 2025.03.12 |
(3월 11일) 비트버니 퀴즈 3월 11일 정답 & 앱테크 트렌드! 💰🚀 (5)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