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이 확정되면서 대한민국은 또 한 번의 ‘조기 대통령 선거’를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헌법과 공직선거법에 따라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러야 하며, 유력한 일정은 6월 3일 화요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대선 일정, 왜 6월 3일일까?
• 헌법 제68조 2항: 대통령 궐위 시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출해야 함
• 공직선거법 제35조: 궐위 확정일부터 60일 이내 선거 실시
• 대통령 권한대행: 10일 이내 대선일 공고해야
• 법정 후보 등록일: 선거일 24일 전 → 5월 10~11일
• 선거운동 기간: 5월 12일 ~ 6월 2일
🌹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후 치러진 대선도 5월 9일, ‘장미대선’이라 불렸죠.
이번에도 5월 말~6월 초, 장미가 만개하는 시기와 겹칩니다.
📆 왜 6월 3일이 가장 유력한가요?
1. 주말 투표 기피
→ 5월 2425일, 31일6월 1일은 토·일요일이라 제외될 가능성 큼
2. 사전투표 혼선 방지
→ 예를 들어 5월 2829일이 본투표라면, 사전투표는 주말(2425일)과 겹쳐 투표율 저하 우려
3. 행정 효율성 고려
→ 화요일 본투표 + 목·금 사전투표라는 포맷은 2017년에도 경험한 모델
🗓 따라서 실무적으로도 6월 3일(화) 대선이 가장 안정적인 선택이라는 평가입니다.
🧾 이후 절차는 어떻게 될까?
• 4월 14일 전까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대선일 공고
• 5월 10~11일: 후보자 등록
• 5월 12일~6월 2일: 선거운동 기간
• 5월 30~31일: 사전투표
• 6월 3일: 본투표 실시
• 대선 결과 확정 즉시: 신임 대통령 임기 시작! (인수위 없이 바로 업무 돌입)
🚨 단체장 출마 예정자들, 주목!
선거법상 선거일 30일 전까지는 사퇴해야 하므로
→ 광역자치단체장들은 5월 4일까지 사퇴 결정을 해야 합니다.
📝 정치적 함의는?
‘윤 대통령 탄핵’이라는 정치적 충격 이후
→ 보수·진보 진영 모두 긴박한 대선 준비 돌입
→ 유권자들의 선택이 곧 대한민국의 새로운 방향성을 정하게 됩니다.
🌹두 번째 장미대선이 다가옵니다.
혼란을 넘어 민주주의의 힘을 다시 한번 보여줄 시간입니다.
'🏛 시사 & 경제 > 📰 정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7일) 6월 3일 조기 대선 잠정 결정…윤 전 대통령 파면 따른 대선일 결정 (1) | 2025.04.07 |
---|---|
(4월 7일) 여수 호남화력발전소 화재…해체작업 중 불길, 작업자 긴급 대피 (1) | 2025.04.07 |
(4월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문 전문 – 헌법재판소, 대통령 파면 결정하다 (2024헌나8) (0) | 2025.04.04 |
(4월 3일) 창원시장 홍남표, 공직선거법 위반 징역형 확정…집행유예로 당선 무효 가능성 ↑ (0) | 2025.04.03 |
(3월 27일) “역대 최악의 산불 재난”…사망 27명, 피해 면적 3만6천ha 넘어섰다 (1)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