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읽는 인사이트, 여기에서 시작합니다.”
Next Frame

📅 오늘의 정보

퇴직금 계산법,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퇴사 전 꼭 확인해야 할 정보📌

Next_Frame 2025. 4. 5. 07:25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퇴사 시 기대하게 되는 퇴직금!

막상 퇴사 직전이 되면 ‘내 퇴직금은 얼마나 나올까?’ 궁금해지는데요,

오늘은 퇴직금 계산 방법, 조건, 지급 시기까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


✅ 퇴직금이란?

 

근로자가 일정 기간 이상 근무 후 퇴직할 때,

사업주가 지급해야 하는 법적 의무 보상금입니다.

 


✅ 퇴직금 지급 조건

1년 이상 근무한 정규직·계약직·일용직 근로자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

👉 단, 1년 미만 근무자는 퇴직금 대상이 아닙니다.

 


💰 퇴직금 계산 공식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재직 연수)]

 

여기서 평균임금은 최근 3개월간의 총임금 ÷ 총 일수입니다.

 


🔎 예시로 계산해볼까요?

퇴사 직전 3개월 급여 총합: 900만원

3개월 동안 총 근무 일수: 90일

평균임금 = 900만원 ÷ 90일 = 10만원

 

퇴직금 = 10만원 × 30일 × 5년 = 1,500만원

 

👉 퇴직금은 세전 기준이며, 일부 기업에서는 별도 퇴직연금으로 운용할 수도 있습니다.

 


🕒 퇴직금 지급 시기

퇴사일 다음 날부터 14일 이내 지급이 원칙

연기 시 근로자 동의 필요

미지급 시 연 20% 지연이자 발생 가능

 


💡 Tip! 꼭 확인하세요

상여금·수당 포함 여부는 ‘통상임금’이 아닌 ‘평균임금’ 기준이라 포함될 수 있어요

퇴직금은 과세 대상이지만 일정 금액까지는 비과세 혜택이 있어요

퇴직연금(IRP)으로 수령 시 절세 혜택도 받을 수 있으니 잘 따져보세요

 


퇴직금은 단순한 ‘퇴직 후 돈’이 아니라

내가 일한 시간에 대한 정당한 보상입니다.

퇴사 전 꼭! 미리 계산해보고, 꼼꼼히 챙기세요 💼